본문 바로가기
비파괴검사장비 일반, 규격등

KS 기준으로 정리한 비파괴검사 5대 기법: MT, PT, VT, UT, RT 완벽 가이드

by newsolder1 2025. 4. 27.
SMALL

KS 기준으로 정리한 비파괴검사 5대 기법: MT, PT, VT, UT, RT 완벽 가이드

산업현장에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비파괴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입니다. 그중에서도 **KS(한국산업표준)**은 국내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폭넓게 활용되는 검사 기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KS 규격에 따라 대표적인 비파괴검사 방식 5가지 ― MT, PT, VT, UT, RT ― 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설명해 보겠습니다.


🔍 1. VT (육안검사) – KS B 0817

  • 기준명: KS B 0817 – 비파괴검사 – 육안검사 방법
  • 적용 대상: 모든 금속 및 비금속 재료
  • 검사 목적: 용접부 형상, 표면 결함(균열, 기공, 오버랩 등) 확인
  • 조건: 검사부에 500 lx 이상 조도 확보, 확대경 또는 내시경 사용 가능
  • 검사자 조건: 근거리 시력(10~12인치 거리) 확인 필수

VT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법으로, 모든 비파괴검사의 시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KS 기준에서는 검사 환경, 시력 조건, 검사 방법, 검사 기록까지 상세히 규정되어 있으며, 단순 육안 확인에서 확대 장비를 이용한 정밀 시각검사까지 포함됩니다.


🧲 2. MT (자분탐상검사) – KS B 0816

  • 기준명: KS B 0816 – 비파괴검사 – 자분탐상검사 방법
  • 적용 재료: 강자성 금속 (예: 탄소강, 주철 등)
  • 검사 목적: 표면 및 근표면의 균열, 슬래그, 기공 등 탐지
  • 탐상 방식: 건식/습식 자분, 형광/비형광 방식
  • 자기화 방식: Yoke 방식, Direct Current, Central Conductor 등

KS B 0816에서는 자화 조건, 자분 선택, 자속 방향, 감도 보증 방법(Pie 게이지, 인공결함 등)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형광자분을 사용하는 경우, 1000 μW/cm² 이상의 자외선 조명과 20 lx 이하의 암실 조건이 필수입니다.


💧 3. PT (침투탐상검사) – KS B 0815

  • 기준명: KS B 0815 – 비파괴검사 – 침투탐상검사 방법
  • 적용 재료: 비다공성 금속 및 비금속 (자성/비자성 모두 가능)
  • 검사 대상: 표면 개방형 결함 (균열, 기공, 핀홀 등)
  • 검사 순서: 전처리 → 침투 → 제거 → 현상 → 판독 → 후처리
  • 검사 방식: 색 대비법, 형광법 선택 가능

KS 기준에서는 침투제, 세정제, 현상제의 선택 기준과 각 공정의 최소/최대 시간, 주변 온도 조건까지 세세하게 규정합니다. 예를 들어, 침투 시간은 최소 5분 이상, 현상 시간은 10분 전후가 일반적이며, 형광 방식은 어두운 환경에서 자외선 조명이 필수입니다.


🔊 4. UT (초음파탐상검사) – KS B 0812

  • 기준명: KS B 0812 – 비파괴검사 – 초음파탐상검사 방법
  • 적용 재료: 대부분 금속 재료 (두께 제한 있음)
  • 검사 대상: 내부 결함(균열, 슬래그, 박리, 기공 등)
  • 검사 방식: 반사법 (Pulse-Echo), 투과법, 위상배열 등
  • 신호 분석: 신호 크기, 반사 시간, 위치 해석

KS B 0812는 초음파 장비 세팅, 커플런트 사용법, 탐촉자 종류 및 배치 조건 등 정밀한 사항까지 명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표준 시편을 통한 교정, 감도 설정, 결함 신호 식별 기준이 중요하며, 검사 결과는 디지털 파형으로 저장될 수도 있습니다.


☢️ 5. RT (방사선투과검사) – KS B 0811

  • 기준명: KS B 0811 – 비파괴검사 – 방사선투과검사 방법
  • 적용 재료: 대부분 금속 재료
  • 검사 대상: 내부 결함 (슬래그, 기공, 다공 등)
  • 방사선원: X-ray, 감마선 (Ir-192, Co-60 등)
  • 영상 기록: 필름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CR, DDA) 모두 포함
  • 보안 요건: 방사선 안전관리자 배치, 법적 기준 준수

KS 기준에서는 방사선 조사 조건, 감도 보증용 IQI(Image Quality Indicator) 설치 방식, 노출 시간, 필름 현상 처리까지 전 과정을 규정합니다. 특히 디지털 RT(CR, DRT)는 최근 활용도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KS 개정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


📌 결론: KS 기준에 따른 정밀하고 안전한 검사

비파괴검사는 단순한 품질 확인이 아닌, 생명과 직결되는 안전 확보의 핵심 기술입니다. KS 규격은 국내 산업계에서 신뢰성 있는 검사를 보장하는 최소한의 기준으로, 모든 검사 방법에 대해 장비 조건, 검사자 자격, 검사 절차, 수용 기준 등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KS 기준을 따르는 MT, PT, VT, UT, RT 검사는 각각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선택되어야 하며, 여러 검사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혜미니처럼 비파괴검사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각 방법의 장단점은 물론 적용 조건과 KS 기준의 핵심 포인트를 반드시 숙지해 두세요!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