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탐상검사에서 사용하는 파형(Wave)의 종류와 차이점 총정리
초음파탐상검사(UT, Ultrasonic Testing)는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초고주파의 음파를 재료 내부에 전파시키고, 그 반응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비파괴검사 기법입니다. 여기서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초음파의 파형(Wave type)**입니다.
초음파는 하나의 형태로만 전달되지 않습니다. 전달 경로와 매질, 입사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파형으로 변하며, 각 파형은 전파 속도, 감쇠 특성, 결함 반응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검사 목적과 대상에 따라 적절한 파형을 선택해야만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파(Longitudinal Wave), 횡파(Transverse Wave), 표면파(Surface/Rayleigh Wave), 판파(Lamb Wave), 굴절파(Shear Head Wave) 등 초음파 탐상검사에서 사용되는 주요 파형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종파 (Longitudinal Wave)
정의
종파는 입자의 진동 방향이 파의 진행 방향과 일치하는 파형입니다. 물리적으로는 압축과 팽창이 번갈아 전파되는 형태로, 일반적인 액체나 기체 매질에서 전달 가능한 유일한 초음파 형태이기도 합니다.
특징
- 전파 속도: 가장 빠름 (철강 기준 약 5900 m/s)
- 주로 사용 위치: 두께 측정, 내부 결함 탐지
- 진입 방향: 직각으로 입사하여 재료 내부로 직진
장점
- 깊은 내부까지 도달 가능
- 파형 해석이 비교적 쉬움
- 속도와 진폭이 안정적
2. 횡파 (Transverse or Shear Wave)
정의
횡파는 입자의 진동 방향이 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파형입니다. 고체에서만 전파되며, 결함 방향에 따라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특징
- 전파 속도: 종파보다 느림 (철강 기준 약 3250 m/s)
- 주로 사용 위치: 용접부 검사, 비스듬한 결함 탐지
- 사용 방식: 굴절각도 이용해 경사 입사
장점
- 수직 또는 경사 결함에 민감
- 입사각 조정으로 다양한 탐상 가능
- 반사 신호 해석에 유리
주의
- 액체나 기체에서는 전파 불가
- 강한 감쇠 특성으로 원거리 전달은 어려움
3. 표면파 (Surface Wave / Rayleigh Wave)
정의
표면파는 초음파가 재료의 표면을 따라 진행하는 파로, 입자의 움직임이 타원 궤적을 그리며 표면을 따라 이동합니다.
특징
- 전파 속도: 종파보다 약 90% 느림
- 전파 범위: 표면에서 약 1~2 파장 깊이
- 적용 위치: 재료 표면에 가까운 결함(크랙, 스크래치 등)
장점
- 도장, 코팅이 없는 금속 표면의 미세 결함에 민감
- 탈착이 어려운 구조물의 외관 결함 검사 가능
단점
- 내부 결함에는 효과 없음
- 표면 조도나 오염도에 영향 받음
4. 판파 (Lamb Wave)
정의
판파는 얇고 평평한 판재에서만 발생하며, 재료 전체 두께를 따라 공명하는 파입니다. 주로 고정밀 구조물이나 넓은 면적 검사에 사용됩니다.
특징
- 두께와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모드(Symmetrical, Asymmetrical) 존재
- 전파 거리: 매우 김 (수 m ~ 수십 m까지 가능)
- 주로 사용 위치: 항공기 동체, 복합재료 검사
장점
- 넓은 면적을 빠르게 검사 가능
- 복잡한 형상이나 곡면 검사에 유리
- 부착형 센서로 자동화 용이
단점
- 신호 해석이 어려움 (여러 모드 혼합)
- 높은 기술적 이해 필요
5. 굴절파 (Head Wave or Mode Converted Wave)
정의
초음파가 재료 경계면에서 특정 각도로 입사하면서 굴절 또는 모드 변환되어 생성되는 파입니다. 일반적으로 횡파로 전환되어 **사선 탐상(Shear Wave UT)**에 많이 쓰입니다.
특징
- 결함 위치에 따라 모드 변환이 발생
- 사용 위치: 주로 용접부 검사, 루트 크랙 탐지
- 45°, 60°, 70° 등 다양한 각도로 적용 가능
장점
- 수직 결함뿐 아니라 사선 크랙도 탐지 가능
- 다양한 각도 조합으로 복합 결함 검출 가능
단점
- 입사각, 경계면 상태에 따라 신호 왜곡 가능
- 기초 파악 없이 쓰면 오탐 확률 높음
파형별 비교표
매질 | 고체, 액체, 기체 | 고체 | 고체 표면 | 얇은 판 | 고체 |
속도 | 매우 빠름 | 중간 | 느림 | 느림 | 다양함 |
적용 위치 | 내부 전체 | 경사 결함 | 표면 결함 | 넓은 판재 | 용접부 등 복잡 형상 |
전파 거리 | 깊숙함 | 짧음 | 짧음 | 김 | 중간 |
장점 | 단순, 정확 | 방향성 탐지 | 표면 민감 | 면적 검사 탁월 | 복합 탐상 가능 |
단점 | 수직 결함 한정 | 감쇠 심함 | 표면 상태 민감 | 해석 어려움 | 정밀 설정 필요 |
마무리하며
초음파 탐상검사에서 어떤 파형을 사용할지는 검사 대상, 목적, 결함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 깊은 내부 결함 검사에는 종파
- 경사면이나 용접부 결함에는 횡파
- 표면 크랙은 표면파
- 대면적 고정밀 구조물에는 판파
- 복합 결함 추적에는 굴절파가 각각 적합합니다.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려면 단순히 장비를 운용하는 것보다, 파형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초보 검사원부터 숙련된 NDT 기술자까지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핵심 지식이죠.
이 포스팅이 여러분의 검사 설계와 교육 자료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이나 메시지로 질문 주세요!
'초음파탐상검사(UT) > 일반 초음파탐상검사(U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ME B31.3 – 공정배관의 국제 표준 완전 정리 (0) | 2025.04.12 |
---|---|
초음파탐상검사의 핵심 이론, 스넬의 법칙 완전 정복 (0) | 2025.04.10 |
초음파탐상검사 펄스반사법 vs 회절법 – 차이점 완벽 정리! (2) | 2025.04.10 |
초음파탐상검사의 국내 규격별 분류 (1) | 2025.04.09 |
초음파탐상검사(UT)의 원리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