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older1 2025. 5. 1. 08:59
SMALL

굴절각이란?

비파괴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

초음파 검사나 PAUT(Phased Array Ultrasonic Testing)를 공부하다 보면 "굴절각"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특히 초음파가 재료 내부를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이해하려면, 굴절각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오늘은 굴절각이 무엇이고,
왜 비파괴 검사에서 중요한지,
그리고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굴절각이란 무엇인가?

**굴절각(Refraction Angle)**이란,

초음파가 두 매질의 경계면을 통과할 때, 진행 방향이 꺾이며 만들어지는 각도입니다.

초음파를 하나의 "빛"처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운데요.
빛이 물에서 공기로 나올 때 휘어지듯이, 초음파도 한 재료에서 다른 재료로 넘어갈 때 꺾입니다.
이 꺾인 각도를 바로 굴절각이라고 부릅니다.

정의적으로는,

  • 입사면에 수직인 선과 굴절된 초음파 진행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말합니다.

굴절각은 왜 생길까?

이것은 기본적으로 매질마다 초음파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초음파는 재료의 밀도(ρ)와 탄성(탄성계수)에 따라 속도가 결정됩니다.
서로 다른 재료를 만났을 때 초음파는 속도를 바꾸는데, 이때 경계면에서 방향까지 달라지면서 굴절이 발생합니다.

비유하자면,
마치 자동차가 도로에서 진흙탕에 진입할 때, 바퀴가 한쪽만 진흙에 닿으면 차량이 휘어지는 것과 비슷합니다.


스넬의 법칙(Snell's Law)

굴절각을 수치로 정확하게 계산할 때는 **스넬의 법칙(Snell’s Law)**을 사용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in⁡θ1v1=sin⁡θ2v2\frac{\sin \theta_1}{v_1} = \frac{\sin \theta_2}{v_2}

여기서,

  • θ1\theta_1 = 입사각
  • v1v_1 = 제1매질(입사 매질) 내 초음파 속도
  • θ2\theta_2 = 굴절각
  • v2v_2 = 제2매질(굴절 매질) 내 초음파 속도

즉,

입사각의 사인값과 초음파 속도의 비율은 굴절각의 사인값과 굴절 매질 속도의 비율과 같다.

요약

  • 두 재료의 속도 차이에 따라 굴절 방향과 크기가 달라진다.
  • 초음파가 빠른 매질에서 느린 매질로 갈 때는 굴절각이 작아지고,
    느린 매질에서 빠른 매질로 갈 때는 굴절각이 커진다.

초음파 검사에서 굴절각의 의미

비파괴 초음파 검사에서는 굴절각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1. 결함을 정확히 탐지하기 위해
    • 초음파를 원하는 깊이와 방향으로 보내야 합니다.
    • 만약 굴절각을 잘못 이해하면 결함을 제대로 지나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특정 결함에 최적화된 입사각을 설정하기 위해
    • 예를 들어, 용접부 검사에서는 45도, 60도, 70도 등 다양한 굴절각을 사용해 결함 위치에 따라 최적화합니다.
  3. 모드 변환(Mode Conversion) 이해
    • 초음파는 경계면에서 '종파(P-wave)'가 '횡파(S-wave)'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 이때 굴절각이 달라지므로, 종파-횡파 간 전환까지 고려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굴절각과 모드 변환

초음파가 경계면에 입사할 때는 단순히 방향만 바뀌는 게 아닙니다.
파형 자체가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수직 입사하면 대부분 종파로 진행하지만
  • 비스듬히 입사하면 종파가 일부 횡파로 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 다른 굴절각을 가집니다.

즉,

  • 하나의 초음파 빔이 경계면에서 두 개 이상의 빔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경로로 퍼져나갈 수 있는 것입니다.
  • 이 때문에 초음파 검사에서는 "각도와 파형의 변화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굴절각이 커지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1. 에너지 손실 증가
    • 굴절각이 커질수록 반사되는 에너지가 많아지고, 실제로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까지 도달하는 에너지가 줄어듭니다.
  2.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
    • 특정 조건에서 굴절이 일어나지 않고 100% 반사되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 현상이 발생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초음파를 보내지 못하고 검사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탐상 범위 제한
    • 지나치게 큰 굴절각을 사용할 경우, 검사 깊이가 얕아지고 깊은 결함 탐지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비파괴 검사에서 굴절각 활용 예시

  1. PAUT에서 Beam Steering
    • 위상 배열 초음파 장비에서는 굴절각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다양한 각도로 빔을 조향합니다.
    • 예를 들어, 하나의 설정으로 40° ~ 70° 범위의 굴절각을 스캔할 수 있어 검사 효율이 극대화됩니다.
  2. 용접부 검사
    • 각도별 초음파 빔을 사용하여, 용접부 내부의 다양한 결함(기공, 크랙 등)을 탐지합니다.
    • 수평 크랙은 45° 빔으로, 수직 크랙은 70° 빔으로 잡는 식입니다.
  3. 복합재료 검사
    • 탄소섬유복합재(CFRP)나 유리섬유복합재(GFRP)는 내부 층간에서 굴절이 반복 발생합니다.
    • 이때 굴절각 변화에 맞춰 초음파 세팅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결론

굴절각은 초음파 검사에서 단순한 이론이 아닙니다.
검사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입니다.

초음파의 입사각, 굴절각, 모드 변환을 정확히 이해하고 세팅할 수 있어야

  • 놓치는 결함 없이
  • 빠르고 정확하게
  • 재료 내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굴절각에 대한 이해 없이 초음파 검사를 한다는 것은,
마치 나침반 없이 항해를 떠나는 것과 같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