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RT)

디지털 방사선 검사(Digital Radiography)의 두 가지 방식

newsolder1 2025. 4. 14. 15:28
SMALL

📷 디지털 방사선 검사(Digital Radiography)의 두 가지 방식

방사선 비파괴검사가 디지털화되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방식은 바로 CR(Computed Radiography)DR(Direct Radiography) 입니다. 두 방식은 사용하는 장비와 원리가 조금 다르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 CR (Computed Radiography): 간접 디지털 방식

  • PSP (Photo-Stimulable Phosphor plate) 라 불리는 이미징 플레이트(IP) 를 사용합니다.
  • 촬영 후, 이 IP를 이미지 리더기에 넣어야만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화할 수 있어요.
  • 필름 대신 IP를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존 필름 시스템에서 디지털로 전환할 때 진입 장벽이 낮습니다.

장점:

  • 기존 X-ray 장비와 호환이 쉬움
  • 비교적 저렴한 장비 비용
  • 소형 부품 및 일반적인 용접부 검사에 적합

단점:

  • 실시간 확인 불가 (스캔 필요)
  • IP 플레이트는 반복 사용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감도 저하
  • DR에 비해 해상도와 감도가 낮음

🔸 DR (Direct Radiography): 직접 디지털 방식

  • DDA (Digital Detector Array) 라는 평판검출기를 사용하여, 방사선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기술입니다.
  • 영상이 즉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별도의 판독기나 스캔 과정 없이 즉시 모니터에 영상 출력이 가능하죠.
  • 최근에는 고감도, 고해상도 DDA 기술이 발전하면서 DR이 검사 품질 면에서 가장 우수한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장점:

  • 실시간 영상 획득 가능
  • 높은 해상도와 감도
  • 검사 시간 단축
  • 후처리(보정, 확대, 필터 등)가 용이
  • 자동화 및 AI 연계 가능

단점:

  • 장비 가격이 비쌈
  • 초기 도입 비용이 높음
  • 대형 평판검출기는 휴대성에서 제약 있음

📌 정리하자면?

항목CR (Computed Radiography)DR (Direct Radiography)
방식 간접 디지털 직접 디지털
검출기 PSP (이미징 플레이트) DDA (디지털 평판 검출기)
영상 확인 지연 (스캔 필요) 실시간
해상도/감도 보통 높음
장비 비용 상대적으로 저렴 고가
적합 분야 일반 산업용, 중소형 검사 정밀 검사, 자동화 검사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