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RT)

방사선 비파괴검사, 국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진행될까

newsolder1 2025. 4. 14. 09:25
SMALL

🛠 방사선 비파괴검사, 국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진행될까?

산업 현장에서 제품의 내부 결함을 확인하는 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방사선 비파괴 검사(Radiographic Testing, RT) 입니다. X선 또는 감마선을 시료에 투과시켜 내부 상태를 필름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확인하는 이 방법은 특히 용접부, 주조품, 배관 등의 품질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공정이죠.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이 방사선 검사를 어떤 기준에 따라 수행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방사선 비파괴 검사와 관련된 국내 규격(KS) 들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 KS 규격이란?

KS는 "Korean Industrial Standards", 즉 한국산업표준의 약자입니다. 국내 산업 제품의 품질, 안전, 검사 방법 등에 대해 국가 차원에서 통일된 기준을 제시하는 제도입니다. 방사선 비파괴 검사 역시 다양한 KS 규격을 기반으로 수행됩니다.


📚 방사선 비파괴 검사 관련 주요 KS 규격

1. KS B 0817 – 방사선 투과 시험 일반 지침

가장 기본이 되는 규격입니다. 방사선 투과 시험의 개념, 기본 조건, 촬영 방법, 필름 선택, 감도 확인 방법 등이 상세히 규정되어 있어 실무자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문서입니다.

이 규격에서는 특히 촬영 거리, 관전압 선택, 노출 조건 등을 상황별로 정리하고 있어,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 줍니다.


2. KS B ISO 5579 – 금속재료의 방사선 투과 시험

국제 규격인 ISO 5579를 국내에 맞게 채택한 표준입니다. 금속재료의 내부 결함을 방사선 필름 촬영으로 확인할 때의 절차, 필름 배치 방법, 감도 지시체 사용, 필름 평가 방법 등을 다룹니다.

실제 촬영 조건을 설정하거나 필름 감도를 해석할 때 참고하면 매우 유용한 규격이죠.


3. KS B ISO 17636-1 / 17636-2 – 용접부 방사선 검사

용접부의 결함 여부를 확인하는 데 특화된 규격입니다.

  • Part 1필름 방식을 기준으로,
  • Part 2는 **디지털 방식(DDA, CR 등)**을 기준으로 검사 방법을 제시합니다.

용접부 검사에서 감도 지시체 배치, 촬영 각도, 중첩 정도, 필름 판독 기준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어 용접 품질 확인 시 필수 참고 문서입니다.


4. KS B 0852 – 감도 지시체(IQI)에 대한 규격

방사선 검사의 핵심은 **감도(센서티비티)**입니다. 감도 지시체는 촬영 시 필름이 얼마나 정밀한 이미지를 제공하는지를 판별하는 장치인데요, KS B 0852는 이러한 감도 지시체의 규격, 모양, 재질, 사용 방법 등을 명확히 규정합니다.


5. KS B ISO 19232 시리즈 – 영상 품질 평가

  • ISO 19232-1부터 5까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IQI 평가 기준, 품질 등급 정의, 감도 수치 계산법 등을 제공합니다.
  • 필름이나 디지털 영상의 **영상 품질(Quality Class)**을 평가할 때 필수적인 기준입니다.

⚠️ 규격 외에도 꼭 확인해야 할 사항들

단순히 KS 규격만 따라 한다고 해서 모든 검사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아닙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그리고 작업 현장의 자체 규정까지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방사선을 다루는 만큼, 작업자의 피폭선량 관리, 작업장 격리, 안전교육 이수 등도 법적 필수 사항이죠.


✨ 마무리하며

방사선 비파괴 검사는 눈으로 볼 수 없는 내부 결함을 확인하는 데 있어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정확하고 안전한 검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KS 규격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필요합니다.

산업별, 검사 대상별로 필요한 규격이 다를 수 있으니, 항상 작업 전에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현장 조건에 맞게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디지털 RT(DRT)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ISO 17636-2 등 디지털 규격에 대한 이해도 함께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비파괴 검사는 “보이지 않는 곳을 보는 기술”입니다. 그 기술을 더욱 완벽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표준 규격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

LIST